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화살표 함수 표현(arrow function expression)은 일반적 함수 표현에 비해 구문이 짧아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제한적이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서 할 수 없다.
1. 자신의 this, arguments, super 또는 new target을 바인딩 하지 않는다.
2. 화살표 함수는 항상 익명이다.
3. 메서드 함수가 아닌 곳에 가장 적합하다. 생성자로서 사용할 수 없다.
4. ES6 문법이다. 간결한 함수 사용이 가능하다.
// 일반 함수
var foo = function () { console.log("foo") }; // foo
// 화살표 함수
var bar = () => console.log("bar"); // bar
기본 구문
(param1, param2, …, paramN) => { statements }
(param1, param2, …, paramN) => expression
// 다음과 동일함: => { return expression; } 즉, 함수 바디가 표현식 하나라면 중괄호와 return 생략 가능
// 매개변수가 하나뿐인 경우 괄호는 선택사항:
(singleParam) => { statements }
singleParam => { statements }
//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는 괄호가 필요:
() => { statements }
고급 구문
'프로그래밍 공부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벤트 종합 정리(마우스, 키보드, input, 스크롤) (0) | 2021.06.25 |
---|---|
키보드 이벤트, input 태그, 스크롤 이벤트 (0) | 2021.06.24 |
toString() (0) | 2021.06.24 |
reverse(), join(), split(), includes() (0) | 2021.06.23 |
비표준 속성 다루기 (0) | 2021.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