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한다.
- 브라우저는 해당 URL의 도메인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하고,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과 매칭되는 IP 주소를 찾아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
- URL 정보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HTTP 요청 메시지 생성한다.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해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
-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RL 정보로 변환되고 웹서버는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데이터를 검색한다.
- 검색된 웹 데이터는 또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원래 컴퓨터로 전송된다.
-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되고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참고자료
'프로그래밍 공부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M 개념 정리 (0) | 2022.02.22 |
---|---|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하는 일련의 과정 (0) | 2022.02.09 |
var, let, const의 차이점과 호이스팅(Hoisting) (0) | 2022.02.09 |
[자바스크립트] 이벤트 리스너 사용 시 this 바인딩 문제 (0) | 2021.11.19 |
[JS/Node.js] Callback, Promise, async/await / TIL 28일차 (0) | 2021.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