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2

[React] Youtube Player API 사용 및 에러

왜 Youtube Player API를 사용했는가? 파이널 프로젝트인 뽀모도로 서비스에는 타이머 기능과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결합한 서비스를 기획했습니다.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양의 음악이 필요했는데, 많은 양의 음악을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없는 한계점, 저작권 관련 문제 등의 이슈로 유튜브 API를 사용하기로 판단했습니다. 패키지 vs 공식 문서 유튜브 플레이어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이미 만들어진 패키지를 이용하는 방법 공식 문서를 참고해 직접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 저희 프로젝트는 리액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패키지를 사용할 경우 아주 편하고 빠른 시간 안에 기능 구현을 완성할 수 있었고 공식 문서 참고할 경우 공식 문서가 순수..

[React] Props & State / TIL 20일차

Props 해당 컴포넌트가 가진 속성을 의미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값이다. 부모 컴포넌트(상위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값, React 컴포넌트는 props를 함수의 전달인자(arguments)처럼 전달받아 이를 기반으로 화면에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기술하는 React 엘리먼트를 반환한다. props로 어떤 타입의 값도 넣어 전달할 수 있도록 props는 객체의 형태를 가집니다. props는 성별이나 이름처럼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변하지 않는 값이다. props는 함부로 변경될 수 없는 읽기 전용(read-only) 객체이다. 따라서, 모든 React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둘 때 반드시 순수 함수처럼 동작해야 한다. import "./styles.css"; const App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