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공부/Backend 4

[Linux] 사용 권한, 환경 변수

사용 권한 Linux에서 사용하는 폴더와 파일에는 권한이 있다. 권한은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으로 나뉜다. 사용 권한 확인하기 터미널 프롬프트에 명령어 ls -l 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권한은 가장 왼쪽 출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표현의 첫 시작인 -과 d는 각각 not directory와 directory를 뜻한다. 그 뒤로 이어지는 r, w, x는 read permission, write permission, execute permission으로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나타낸다. 3번에 걸쳐 rwx가 반복되는데 이것은 사용자/그룹/나머지에 대한 권한을 표현한다. host:~/linux$ ls -l 합계 8 -rw-r-..

[Node.js] Mini Node Server / TIL 32 일차

HTTP 트랜잭션 서버 생성 node에 웹 서버를 생성하려면 웹 서버 객체를 만들어야 한다. createServer를 이용한다.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PORT = 5000; const ip = "localhost";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uest, response) => { // 여기서 작업이 진행됩니다! });이 서버로 오는 http 요청마다 createServer의 콜백 함수가 호출된다. 서버에 http 요청이 오면 node는 트랜잭션을 다루기 위해 요청 핸들러 함수(콜백 함수)를 호출하고 request와 response 객체를 매개변수로 전달한다. 서버 연결 요청을 실제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list..

TIL 8 일차 2021.09.01

TIL CLI(Command-Line Interface)의 장점 리눅스의 터미널은 키보드의 입력과 모니터의 출력으로 모든 작업이 가능하다. 리눅스 터미널은 GUI가 개발되기 이전부터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었기 때문에, GUI가 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은 CLI로 가능하다. GUI가 PC(Personal Computer, 개인 컴퓨터)시장을 지배하게 되었지만, CLI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대표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이 대량의 서버 컴퓨터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는 최소 5만개 이상의 서버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모든 컴퓨터에 I/O 소스(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를 부착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고 비효율적이다. 이렇게 대량의 서버를 이용하는 서비스는 C..